[Javascript] 내장객체 - Math

[Javascript] 내장객체 - Math updated_at: 2024-03-25 11:56

Math 객체

Math 함수는 괄호안에 숫자나 변수 또는 수식에 따른 결과값을 그 함수가 정의된 대로 변화 시키는 것이다. 물론 random() 함수는 그 자체로 괄호에 숫자 없이 임의로 하나의 숫자를 만들어 내지만.....

abs

절대값을 구하는 함수. 괄호안의 값이 0 보다 작은 값이면 부호를 바꾼 값이 나온다. 예를 들어 Math.abs(-3) 의 값은 3 이다.

max()

괄호안의 숫자나 수식, 변수 중에서 더 큰값을 선택해준다. 괄호안에 들어갈 숫자는 한개이상의 갯수이며 각각의 인자는 쉼표(,)로 구분한다.

min()

max() 함수가 큰 값을 선택해주는 함수라면 이 함수는 괄호안에서 작은 값을 선택해주는 함수이다. 사용법은 max 함수와 똑같다.
어렵지 않은 함수이므로 다음 예제를 보고 Math 객체의 사용법과 함수를 이해하고 넘어가자.

<script> 
var maddog = -365;             //-- 변수 maddog 는 정수 -365 로 정의해줌 
var abc = maddog * Math.PI;    //-- 변수 maddog 에 원주율값(약 3.1415) 를 곱한것을 abc 값으로 삼는다. 
var def = Math.abs(abc);       //-- 변수 def 는 변수 abc 의 절대값으로 한다. 
var ghi = Math.max(def,10000); //-- 괄호안에 수에서 가장 큰수를 변수 ghi 로 삼는다. 
</script>

round()

이 함수는 반올림 함수이다. 반올림 되는 위치는 소수점 첫째 자리를 기준으로 반올림 된다. 소숫점 첫째 자리가 5보타 크거나 같으 면 하나 더 큰 정수 값을, 그렇지 않으면 작거나 같은 정수값을 가지게 된다.

ceil()

괄호안의 값이 소수값이면 무조건 그보다 큰 가장 가까운 정수값을 가진다. 올림함수라고 한다.

Math.ceil(3.14) 의 값은 4 이다. Math.ceil(-3.14) 의 값은 -3 이다. 이거 이해 안가믄.....이해 갈때까지 디다 보믄 된다.

floor()

ceil 함수와 반대의 역할을 하는 함수. 괄호안의 숫자 보다 작은 가장 가까운 정수값을 가진다. 버림함수라고 한다.

Math.floor(3.14) 의 값은 멀까. Math.floor(-3.14) 의 값은 멀까. 위에꺼 이해 했으믄 이거또 이해가 쉽게 간다.

random()

이 함수는 괄호안에 아무것도 들어가지 않는다. 하는 역할은 0 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은 사이의 값을 아무거나 추출해 낸다. 0.!@#@#$@@# 의 형태를 지닌 소수의 형태이다(여기서 1보다 작다 는건 절대로 1의 값이 선택되지는 않는다는 말이다.)

간단한 예 몇가지 들어보자.

Math.round(Math.PI) 의 값은 얼마일까. Math.PI 의 값이 3.14.. 이므로 이 값을 반올림 하면 4 이다. 그러므로 Math.round(Math.PI) 의 값은 4 이다.

올림 함수 예에서 Math.ceil(-3.14) 에 근접한 정수는 -3 과 -4인데 이 두수중에서 더 큰수는 -3 이므로 Math.ceil(-3.14) 의 값은 -3이다.

random 함수에 관한 예는 다음에서 논하자. 이 반올림함수, 올림 함수, 내림 함수, 랜덤 함수는 자주 쓰이는 것이므로 반드시 이해하고 넘어가도록~

평점을 남겨주세요
평점 : 5.0
총 투표수 : 1

질문 및 답글